관련 포스팅
안녕하세요 지굴입니다.
오늘은 건축사자격시험 팁 - 조닝! 첫번째 포스팅입니다.
가장 많은 분들이 고통받고 있는 1교시 배치와 2교시 평면에서 항상 수험자에게 불확실성을 안겨주는 조닝이라는 놈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제가 배치와 평면을 풀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조닝을 나눴었는지 그리고 실제 어떤식으로 적용했는지 소개 해볼까 합니다.
먼저 건축사자격시험 출제 기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2007년이 마지막으로 게시되어 있는 자료이긴 하지만 대한건축사협회 자료실에 가면 건축사 자격시험 출제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내용을 한번 볼까요?
[배치계획]
주어진 규모의 건물, 시설물 등을 계획대지 내에 적정 배치하게 하여, 배치 영향조건을 합리적으로 해석․ 종합하고 이를 일정한 규격의 도면(배치도)에 표현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주요 배치 영향조건
① 대지 주변 자연환경 및 지역지구제 등 지역적 특성
② 방위, 대지면적, 대지경계선, 대지가 접하는 도로의 위치와 폭, 주출입구
③ 건축선 및 대지경계선으로부터 건축물의 거리
④ 대지 내외 기존 건물/시설물, 각 건물의 연계 기능
⑤ 동선 계획(사람, 물건, 차량) 및 주차계획
⑥ 건축물 외부 공간 계획 및 조경 계획(담장 계획 포함)
⑦ 공사용 가설건축물의 축조위치, 공사기간중의 도로점용범위
⑧ 옹벽, 우물, 급배수시설, 오수정화시설, 분뇨정화조, 쓰레기분리수거용기, 기타 부대시설 및 공공설비에 대한 계획 및 현황
[평면설계]
제시조건에 의거 건축공간을 구성하고 동선을 계획한 내용을 평면적으로 표현하게 하여, 건축계획 및 표현 능력을 측정하고 건축설계 실무에 필요한 문제해결 능력 및 전문 지식 습득 수준을 평가한다.
평면설계 주요 평가요소
1) 대지조건 및 설계조건에 대한 해석 및 설계 능력
① 각종 법규 제한조건 및 공간계획 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계내용의 적정성
② 대지 관련 제시조건에 대한 논리적 해석 및 기술적인 처리 능력
③ 건축물 위치 관련 요구조건에 대한 이해 및 기술적인 처리 능력
④ 건축규모 및 구조 등에 대한 설계조건 준수 정도
⑤ 설비시스템, 건축물의 형태 등에 대한 설계반영 내용의 적정성
⑥ 출입, 이동, 피난, 각 부위별 레벨 등 특기조건에 대한 설계반영 정도
⑦ 연계성, 편의성, 안전성, 경제성, 인지성, 상징성 등과 관련된 설계 능력
2) 스페이스 프로그램 관련 공간 구성 능력
① 실별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해석, 전체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능력
② 공간의 수(실명 및 실수), 실별 위치 및 면적의 적정성
③ 실별 특기 요구조건 및 실간 연계성 관련 요구조건 준수 정도
④ 출입구, 통로, 계단 등 동선체계의 효율성
⑤ 장애자 등 특수사항에 대한 배려
⑥ 기타 스페이스 프로그램 관련 요구조건에 대한 설계내용
3) 표현 능력 및 기타
① 도면 작성 범위 및 표현방법의 적정성
② 도면 내용 및 표기 요구사항에 대한 도면작성 정도
③ 도면작성 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계반영 정도
④ 기타 건축설계 실무 관련 문제 해결 능력
휴 정말 많네요. 특히 2교시의 경우 세부 과목이 없기 때문에 평면설계 한과목을 통해 많은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나열된 목록에서 점선 안에 있는 부분이 조닝에 대한 평가로 보입니다.
그럼 Zone 이라는 단어 뜻에 대해 알아볼까요?
Zone
Noun. any continuous area that differs in some respect, or is distinguished for some purpose, from adjoining areas, or within which certain distinctive circumstances exist or are established.
눈에 확 들어오는 단어는 연속적인 공간, 인접한 공간 이라는 단어와 다른, 구별되는 이라는 단어들 인데요. 한마디로 연결되어 있지만 명확하게 구분된!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Zoning의 뜻을 배치/평면을 풀면서 계속 마음속으로 되새겨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드리는 팁 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배치/평면 문제를 풀때
"난 이번 문제에서 Zone 만큼은 확실하게 나눠야지!"
라고 생각을 하라는 것입니다.
"조닝만 맞아도 50점은 맞는다."
이 말은 위의 제출 및 평가기준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닝이 평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도면 표현능력 평가를 제외하고 거의 출제기준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니 배치와 평면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조닝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출제기준도 알았고 그럼 다음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과년도 문제풀이나 실제 조닝을 나눈 사례들을 보고 조닝을 나누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도로(복도)를 이용해서 나누는 경우, 조경을 이용하거나 레벨차이를 이용해서 나누는 방법 등등 정말 다양한 방법과 아이디어들이 있습니다.
건축사자격시험에서는 내가 다양한 공격 카드(조닝 나누는 방법)을 가지고 문제 상황을 보고 제일 강력한 카드를 내밀어서 밀고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테크닉들을 늘려야 하는 것입니다.
작도반 시작전에 시험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건축사자격시험을 처음 준비하는 분들이 많이하는 질문입니다. 저의 대답은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배치/평면 계획을 꼼꼼히 분석해서 본인의 공격카드를 만들어 놓으라
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현상설계 계획안을 보면 정말 주옥같은 디자인과 공격카드들이 가득 들어있습니다. 잡지를 보더라도 한번쯤 더 눈여겨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건축사자격시험 출제기준과 조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문제가 출제되는지 확인 해보겠습니다.
※ 궁금하신 사항이나 건의사항 있으시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방명록 바로가기 클릭!
↓↓↓↓↓↓↓↓↓↓↓↓↓↓↓↓↓↓↓↓↓↓↓↓↓↓↓↓↓↓↓↓↓↓↓↓↓↓↓↓↓↓↓↓↓
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바로 아래 로그인이 필요없는 공감 하트♡→♥ 클릭 부탁드립니다!
↓↓↓↓↓↓↓↓↓↓↓↓↓↓↓↓↓↓↓↓↓↓↓↓↓↓↓↓↓↓↓↓↓↓↓↓↓↓↓↓↓↓↓↓↓
'건축사자격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준비물#5 - 컴퍼스 (4) | 2017.05.28 |
---|---|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오답노트#4 - 오답노트C (1) | 2017.05.28 |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오답노트#3 - 오답노트B (1) | 2017.05.01 |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오답노트#2-오답노트A (0) | 2017.04.30 |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오답노트 #1 - 개요 (0) | 2017.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