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사자격시험

[건축사] 건축사자격시험 준비물 #1 - 제도판

안녕하세요 지굴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 지고 있네요 ㅠㅠ 영국은 아직도 쌀쌀합니다. 유학준비와 영국생활 관련 포스팅도 조금씩 늘려 나가야겠네요.^^

오늘은 건축사자격시험 준비물 첫번째 포스트, 제도판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제도판 종류가 정말 다양합니다. 메이커 부터 시작해서 사이즈 까지..자석기능이 있는지 없는지 등등..


하지만 막상 공부를 시작해보면 별로 필요 없는 기능들 입니다.


저는 1. 450 x 600 사이즈 미카도 제도판과 2. A3사이즈 스테들러 제도판 2가지를 구비했습니다. 광고료를 받는다거나 그런건 없구요. 순수하게 제가 사용했던 방법을 중심으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물론 정답이 아니고 참고만 하시면 좋을거 같아요.


1. 450 X 600 미카도 제도판 (자석 기능 없음)



450x600은 시험용으로 많이 쓰는 크기예요. 600x900도 있고 이보다 더 큰 것들도 있지만 다 필요 없습니다. 시험용은 450x600사이즈로 구매하시면 됩니다. 개인의 취향이지만 자석기능은 그닥 유용해 보이지 않았습니다. 메이커도 다양하긴 한데 미카도 추천 드립니다. 우선 가볍고 뭔가 단단해 보이는 느낌이 나거든요. 구매하실때 수평은 잘 맞는지, 움직임은 부드러운지를 꼭 확인 후 구매하세요. 만약 물건에 하자가 있다면 제도판 사이즈가 꽤 커서 교환하러가기 상당히 귀찮습니다.


4월 정도부터는 자주가는 카페에 이 450X600사이즈 제도판 들고 가서 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지않는 최적의 장소를 찾아내서 시간남는 날이면 무조건 그곳에 가서 거의 10시간 넘게 앉아있었던거 같아요..(카페 사장님 감사합니다..) 그래도 양심은 있어서 음료랑 식사까지 전부 같은장소에서 해결했습니다.


작도장소 찾기도 12월중에 끝내 놓으시길. 1월부턴 달리셔야 합니다. 집에선 거의 안하게 될겁니다. 제도판까지가서 앉기가 참 힘들더라구요. 물론 회사를 다니고 계실 경우입니다.



2. 스테들러 A3사이즈 제도판



두번째 제도판 A3사이즈를 소개해 드릴게요. 사실 이건 제가 따로 생각해서 구매해서 사용 했던 제도판 인데요.

저는 회사를 다니면서 준비를 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작도연습을 해볼 수 있는 제도판이 필요했었습니다.

그래서 450X600은 집에서 작도할때만 쓰고 A3사이즈 제도판은 들고다니면서 카페, 회사 모형실 등등에서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때 연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말에도 집에서 작도하기 보다는 작은 제도판 들고 사람들 왔다 갔다 하는 곳에서 흥겹게 작도 했습니다.

​사진 보시면 아시겠지만 A3용지보다 살짝 큰 정도의 크기 입니다. 키보드랑 비교해 보시면 알 수 있을거 같네요.

거기다가 엄청나게 가볍습니다. A4용지 30장 묶음 보다 가벼워요!


가뜩이나 주말도 반납하고 혼자 살던 터라 집에서 작도하면 우울증이 올뻔 했었지요..

A3사이즈 제도판은 휴대성이 좋아서 초반 12월~4월 정도까지 정말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회사 마치고도 집으로 바로 안가고 근처 던킨 구석에서 과제 하나씩 하고 집에 갔었던 기억이 나네요. 집에가면 제도판 앞에 앉기가 상당히 힘들다는걸 공감하실 겁니다. 


아 한가지. 4월 이후에는 큰 제도판으로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큰 제도판에 본인을 최적화 시키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것에 대해선 나중에 다시 한번 제대로 다뤄보도록 하지요^^ 여튼 휴대용으로 꽤 쓸만 합니다. 시험 합격 후 한번에 합격한 기운을 담아서 만족스러운 가격에 팔수 있었습니다.



제도판 이야기는 이정도가 될것 같습니다.​ 포스팅이 길어지면 지루해 질것 같으니 조금더 나눠야 될것 같네요^^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샤프와 샤프심, 지우개와 전동지우개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주말 되세요~!


재밌게 보셨나요? 그럼 제도판으로 돌아가세요.


※궁금하신점은 방명록에 남겨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제 글이 여러분께 도움이 됐거나 공감되시면 로그인 필요없는 공감 한번 눌러주세요~^^

↓↓↓↓↓↓↓↓↓↓↓↓↓↓↓↓↓↓↓↓↓↓↓↓↓↓↓↓↓↓↓↓↓